Continuum Movement®
컨티뉴엄 무브먼트(Continuum Movement)는 에밀리 콘라드(Emilie Conrad)에 의해 창시되었다.
CM® 은 호흡, 소리, 움직임을 사용하여 우리의 고유한 감각과 생체지능(Bio-Intelligence)을 깨우는 메소드이다.
소리, 호흡, 그리고 움직임으로 몸 속의 플루이드 시스템(fluid system)을 각성시켜 우리 안에 있는 물의 흐름을 통해 자유롭게 움직여지게 된다.
에밀리 콘라드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본질적으로 고유한 움직임이 있으며, 그것이 지구의 물과 연결 되어있기 때문에
그 움직임과 흐름에 다시 연결되어야 진정한 건강과 의식을 향상시킬수 있음을 주창했다.
Emilie Conrad
에밀리 콘라드
1934. 6. 14 ~ 2014. 4. 14

에밀리 콘라드의 발견
에밀리 콘라드는 어릴적부터 창문너머로 사람들이 지하철에 내리고 타는 사람들의 기계적인 행동을 보고는 우리의 삶에는 무언가가 빠져있다고 생각한다.
자유롭게 춤추는게 유일한 탈출구였던 에밀리는 댄서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캐서린 던햄 (Katherine Dunham)이라는 아프리칸 댄서의 수업을 듣게 되었고, 그녀의 척추 움직임을(Spine Undulating) 통해 자기가 찾던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감명을 받는다. 이후 그녀는 캐서린 던햄이 영감받았던 나라인 헤이티(Haiti)로 가서 직접 자연에서 맨발로 춤을 추며 왜인지 모르는 깊은 안정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어느날, 한 여성이 헤이티 전통춤인 Yanvalou 를 추는 모습을 보며 그 여성이 지구에서 부터 오는 흐름을 타고 움직인다는 사실를 목격한다.
지구가 생영체들과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 모두 지구와의 흐름속에 연결되어 있음을 깨달았다.
에밀리 콘라드는 헤이티를 떠나 새로운 여정을 해야한다는 직감을 받는다. 헤이티가 자신을 헤이티를 떠나 본국으로 돌아가라는 것 같이 느껴졌다고 했다. 어떤 여정을 할지 모른체 슬픈 마음으로 헤이티를 떠나게된다.
본국(뉴욕)에 돌아와서 몸에는 있지만 말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헤이티에서의 경험과 현실을 어떻게 통합 시켜야하는지 큰 어려움을 겪었다. 헤이티에서 했던 경험들을 7년이라는 시간동안 깊이 숙고하며 지성적으로도 이해해 갔다.
그러던 중, 지인이 댄스 수업을 맡아달라는 요구를 받고 수업을 하기로 결심한다. 처음에는 던햄 스타일의 수업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나, 수업을 하던 도중 지혜로운 몸의 목소리를 듣기 시작하면서 순간순간 저절로 일어나는 깊은 움직임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현재있으며 자기 몸의 목소리를 신뢰하며 수업을 진행했던 것을 시작으로 컨티뉴엄 무브먼트를 창안하였다.
에밀리의 기여 Contribution
에밀리 콘라드는 뉴욕에서 태어나 자라고 후년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살았다.
그녀는 Sri Aurobindo Assoc. in America, American Humanistic Psychology, UCLA, USC, UC Santa Cruz, UC Santa Barbara, U of San Jose, University of Arizona, Rolf Institute, Esalen Institute, Newport Sports Clinic, Center for the Healing Arts, Open Center NYC, Tarrytown Group, Omega Institute NY, Common Boundary, Naropa Institute, Kripalu Institute, Actors Studio West, Lee Strassberg Institute 등 여러 학교에서 강의를 하였고 캐나다와 미국에서 주로 개인 워크숍이나 개인레슨을 진행하였다.
그녀는 올해의 무브먼트 티쳐 (Movement Teacher)와 소매틱스 개척자(Somatic Pioneer)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1963년, 로스앤젤레스 에밀리 콘레드는 액팅 스튜디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그녀의 메소드는 여러 아티스트들의 움직임의 질을 높여주었다. 그 영향으로 인해 에밀리 콘레스는 여러 예술무대와 연기 무대를 코레오그래피 하였다. 그녀의 작품은 Japan America Theatre, John Anson Ford, Wilshire Ebell Theatre, Theatre West, Pasadena Art Museum,Highways, UCLA, Actors Studio West 와 같은 여러 예술무대에서 선사하였다.
1974년 부터 1979년 까지는 Dr. Valerie Hunt의 UCLA 논문에서 무브먼트 전문가로 참여했다. 에밀리 콘라드의 발견은 여러 피트니스, 소매틱스, 무브먼트 분야에 많은 영감과 영향을 주었다.
그녀의 발견 중 "세가지의 해부학적 구조" 라는 컨셉이 있다. 그 세가지 구조는 문화적(cultural), 원초적(primordial), 그리고 우주적(cosmic) 세포들을 의미한다.
에밀리 콘라드는 원초적인 그리고 우주적인 흐름을 자각 할 수 있다면, 문화적으로 억제되어지고 적응되어진 자신의 고정된 패턴을 떠날 수 있게되기 때문에, 이것은 궁극적으로 건강이나 창의력에 자원이 된다고 말했다.
에밀리 콘라드의 저서
